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시스템해킹
- 등교개학
- 해킹방어과
- pwnable.kr
- 특별전형
- 머신러닝
- 인공지능
- 디미고입학
- 대나무숲
- 이비즈니스과
- 코로나19
- 웹개발
- TensorFlow
- 풀스택
- coursera
- graphql
- 디미고
- 워게임
- 우분투
- 일상
- 플러터
- 웹프로그래밍과
- 학생
- WebHacking
- 디지털컨텐츠과
- 딥러닝
- apollo
- Flutter
- 중3
- 디미고특별전형
Archives
- Today
- Total
꿈이 너무 많은 한 대학생의 공간
대나무숲 프로젝트 완료 본문
제 중학교 이름을 딴 대나무숲이 완성되었습니다.
기본적인 구조는 React <-> Express with MongoDB 형태입니다.
홈페이지의 전체적인 분위기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하늘색 / 밝은 파랑색을 주요 색깔로 선택했습니다.
UI 라이브러리인 Ant Design(ANTD) 의 Select 컴포넌트와 Tag 컴포넌트를 사용해 디자인을 조금 더 강화했습니다.
7가지의 드롭다운 메뉴가 있으며 한 태그를 선택하고 게시하면 태그마다 색깔이 다 달라 보는 재미도 있습니다.
폰트는 Google Fonts 에서 구한 Noto Sans KR 폰트를 사용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폰트를 매우 좋아하는데 Bold채로 바꾸면 엄청 간결하고 보기 좋거든요.
배포는 Heroku 에서 배포했습니다. Heroku 엄청 좋아요. 사실 AWS도 써보고 싶긴 한데
신용카드 인증을 해야해서 안쓰고 있습니다. 부모님이 그런거 꺼려하시거든요.
사실 학교에 만들었다고 알리지도 않았고, 학생들이 쓰기에는 너무 부족하고 보안상 취약점이 많아 친구들끼리의 소통함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재밌어요.
처음으로 풀스택 기반 프로젝트를 완료했습니다. MongoDB랑 Express랑 연결하는거랑 DB 모델링이 너무 귀찮아서 안쓰고 있었는데 CRUD 기능만 사용하니 간편하고 좋네요.
다만 로그인 기능을 구현할때 귀찮을거 같아요...
'개발만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코딩 - 코로나19 디스코드 봇 (0) | 2020.06.13 |
---|---|
첫 플러터 프로젝트 - 대나무숲 모바일화( + 디미고 관련 소식!) (0) | 2020.05.28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란? (0) | 2020.05.23 |
사회공학이란? (0) | 2020.05.11 |
GraphQL을 Apollo 와 함께 써본 후기 (2) | 2020.04.2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