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이비즈니스과
- 웹프로그래밍과
- WebHacking
- 학생
- pwnable.kr
- 대나무숲
- 디미고
- TensorFlow
- 시스템해킹
- apollo
- 코로나19
- 플러터
- 중3
- 인공지능
- 등교개학
- coursera
- 딥러닝
- graphql
- 일상
- 해킹방어과
- 디지털컨텐츠과
- 풀스택
- 특별전형
- Flutter
- 머신러닝
- 디미고특별전형
- 웹개발
- 워게임
- 우분투
- 디미고입학
- Today
- Total
목록개발만담 (5)
꿈이 너무 많은 한 대학생의 공간

1. 준비물 - Visual Studio (2019 권장) - CMake (C/C++ 프로젝트 빌트 툴) - 튜토리얼 코드 위 준비물이 모두 갖춰진 상태에서 CMake를 연다. .zip 파일인 튜토리얼 코드를 압축 해제한 후, CMake의 Where is the source code: 부분에서 압축 푼 디렉토리를 선택한다. 이후 원하는 폴더를 하나 새로 만들고, 그 경로를 지정한다. (그 폴더로 완전히 빌드가 완료된 파일들이 들어갈 것이다) Configure을 한번 누르고, Visual Studio 16 (2019) 를 선택한 뒤 아래 Finish를 누른다. CMake가 해당 IDE에 대해 여러 설정을 하면 위의 화면처럼 빨갛게 항목이 그어질 것이다. 아래 Configure를 한번 더 눌러주자. 그렇게 ..

오늘 갑자기 코로나19 API를 이용하고 싶어서 이를 이용한 디스코드 봇을 제작하였습니다. 전 포스팅에서 자체 제작했던 "보건복지부 파싱 코로나 API" (http://dev.api.corona.koreal.io/all) 를 사용했습니다. Discord.js 모듈을 이용해 Javascript로 제작했습니다. request 모듈을 이용해 API 서버에서 body를 긁어오고, 파싱해 Embed 로 띄우는 형식입니다. - ! 입력시 ! 를 입력하면 아무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해 명령어를 모른다면 !help 또는 !도움말을 쳐달라고 메세지를 띄웁니다. - !도움말 (!help) 입력시 코로나봇 사용법을 가져옵니다. Discord.MessageEmbed 를 사용해 가져옵니다. - !코로나 입력시 국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Managaement System, RDBMS)는 현재 보편화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 모델 중 하나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며, 행과 열, 즉 가로 세로 축과 유사하게 저장됩니다. 행(Column) 이란, 주로 필드라고 불리며 항목의 속성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유저 정보를 저장할 때, ID, Username, Password, Email 등이 있겠습니다. 열(Row) 란, 주로 레코드 라고 불리며 데이터 항목을 나타냅니다. 위와 같은 데이터 예시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여기서 ID, Username, Password, Email이 무엇이 될까요? 행이 되는 것입니다. 1, 2, 3, 4번째 유저의 ID, Usernam..
흔히 해킹 이라고 하면 영화에서 본 것처럼 어떤 검정 창에 초록색 글자가 쭈루룩 나오고, 멋지게 키보드를 타타타탁 치면 해킹 성공! 하는 연기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는 실제 전공자나 실무자가 보면 우습죠. 적어도 검정 창에 초록색 글자가 쭈루룩 나올 정도면 시스템 해킹이나 네트워크 해킹 분야인데, 키보드를 타타타탁 치는 정도로는 시스템 해킹의 기초적인 기법인 BOF 공격도 할 수 없고, 네트워크 해킹에서는 그저 패킷 찾아내는 것 밖에 못 할 겁니다. 그런데 이렇게 컴퓨터에 대한 심화적인 지식과 해킹을 할 줄 몰라도 해킹처럼 치명적으로 상대방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 입니다. 사회공학이란 보안에서의 측면이 아닌 사람들의 신뢰를 ..
개인적으로 제가 고등학교를 가기 전에 제가 직접 만든 블로그를 운영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러기에는 구현해야 될 것이 너무 많았죠. API 서버, DB 모델 구현, DB 연동, 로그인 / 로그아웃 구현, 프론트엔드 디자인 등 혼자 하기에는 많이 벅찼습니다. 그로 인해 한참 미루고 미루던 도중, GraphQL 이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GraphQL 이란? GraphQL은 간단히 말해서 기존 SQL 언어 등과 유사한 Query Language 입니다. 기존 API를 불러오는 방식은 API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Fetch를 통해 그 응답을 긁어오고, 그를 통해 불러온 Body를 json화해서 하나하나 할당하는게 기존 방식이었습니다. > 물론 이건 제가 썼던 방식입니다. 아직 부족한 개발자라 더 좋은 어떤 방..